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천사람은 어떻게 살아왔나!

카테고리 없음

by 배철수 2015. 9. 23. 17:14

본문

 

 

10.1~7. 일주일간 미래유물전이천아트홀 전시실에서 열려

10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이천아트홀에서 이천사람들이 그동안 어떻게 살아왔는지, 일상적이고 소소한 삶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특별전시 프로젝트인 미래유물전이 막을 올린다.

 

<미래유물전>은 최근 근현대를 조명하는 전시가 붐(Boom)을 이루는 가운데,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이천지역을 대상으로 시도되는 전시 프로젝트다.

 

평범하지만 열심히 살아왔던, 이천의 보통사람들의 삶의 모습

 

<미래유물전>이란 전시 타이틀부터가 심상치 않다. 미래의 유물이란 현재의 삶이 미래 시점에서는 소중한 유물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금 현재 마을과 동네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우리 부모세대가 근현대를 살아오면서 겪어온 일들과 경험들이 이천이라는 지역을 이루고 이천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려고 한다.

 

<미래유물전>에서 핵심이 되는 주제는 지금 현재일상적 삶의 중요성이다. 모든 시간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이어져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한다. 지금 전승된 유물은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는 그때의 일상적 삶의 물건이었고 지금 우리의 일상적 삶은 미래의 유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미래유물전>은 소소하고 담백한 일상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게끔 이끌며 이천사람들에게 이천의 정체성을 되돌아보게 만들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천사람들의 순박한 심성과 이천의 정서를 보여주는 순정, 여정, 진정

 

<미래유물전>은 총 4가지 코너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실을 들어서면 우선 이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구만리뜰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이어서 이천사람들의 순박한 심성과 지역의 정서를 보여주는 세 개의 코너가 펼쳐진다.

 

먼저 순정(純情)”에서는 이천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곧장 내달리기만 했던 놓을 수 없었던 삶과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살아내기의 반복. 되풀이되던 일상을 실제 육성과 사례를 통해 나타냈다. 용면리 농부 3대의 이야기, 양정학교 통학버스를 운행했던 할아버지, 하이닉스 공장근로자, 이천주민으로 살고 있는 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이천사람들의 일상이 펼쳐진다.

 

여정(旅情)”은 사물을 통해 살아가는 모습을 찾아보고자 했다. 62년째 운영 중인 미미사진관을 재현하여 아련한 그 시절의 사진관 풍경 속으로 들어가 볼 수 있으며, 라이트박스를 통해 그동안 미미사진관을 다녀간 이천사람들의 사진을 합성해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예술가의 작품과정을 소리로 전시한 조각물, 창고에 방치되어있던 먼지쌓인 잡동사니 속에서 사물들이 우리에게 어떻게 말을 걸어오는지 발견하는 재미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진정(眞情)” 코너에서는 앞서 전시된 코너들에서 상징적 의미로 표현되고 이천의 과거와 현재를 담아냈던 모든 구성물들을 현재의 시점에서 사진과 영상으로 재기록하는 과정으로 끝을 맺는다.

 

이천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특별한 전시로 기대

<미래유물전>을 찾는 관람객은 전시실에서 전문적인 해설과 안내를 담당하는 도슨트를 만날 수 있다. 도슨트들은 자원봉사로 참여하며 하루 2회씩(오후 2, 4) 관람객들이 전시를 통해 이천의 정체성과 지역문화를 시각적으로 느끼고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전시를 통해 이천문화원 조명호 원장은 오래된 조상이 아니라 우리의 할아버지와 할머니, 이웃들, 아이들의 삶이 모여 이천이라는 공동체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고민을 다시 하게 된 의미있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염상덕 경기도문화원연합회장은 동네에서, 마을에서 순정을 바쳐서 삶을 살아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문화원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다시하고 싶었다.” 고 밝혔다.

 

<미래유물전>은 경기도문화원연합회가 주최하고 경기도가 후원하는 기획전시 행사로, 개막오프닝은 101() 16시에 이천아트홀 전시실에서 진행된다.

 

전시기간 : 10/1~7. 도슨트프로그램은 오후 2, 4시 진행. 10/5()은 휴무